기술 혁신이 불러올 새로운 사회계약론
산업혁명 이후 사회계약론은 근대 시민사회를 규율하는 이론적 기반이 되어왔다. 루소, 홉스, 로크 등의 고전철학자들이 제시한 사회계약의 핵심은 국가와 시민 간의 권리와 책임, 통치와 복종의 합리적 교환이었다. 그러나 21세기 초입, 우리는 인간 사회의 근본 규칙이 새롭게 쓰여져야 할 전환기에 놓여 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자동화 기술 등은 인간의 노동, 경제, 정치 참여, 정보 접근의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기존의 사회계약 이론으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기술 혁신이 사회의 모든 구조를 재편하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누가 시민이며’, ‘어떻게 권리가 행사되고’, ‘어디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가’라는 물음을 새롭게 던져야 한다. 이 글은 기술 혁신이 어떻게 사회계약..
기술 중독 시대, 인간은 어떻게 자기통제를 회복할 수 있을까
스마트폰, SNS, 알고리즘 기반 콘텐츠는 이제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도구가 되었다. 처음엔 정보를 빠르게 얻고, 소통을 돕기 위해 도입된 기술이지만, 점점 인간의 집중력, 판단력, 심지어 감정마저 조종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른바 ‘기술 중독’이라는 새로운 사회병리는 단순한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뇌의 구조, 사회적 관계, 심리적 의존성까지 아우르는 깊은 문제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자기통제를 회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되찾을 수 있을까? 1. 기술 중독의 본질: 뇌과학과 심리학이 말하는 의존의 메커니즘기술 중독은 단순한 ‘사용 습관’이 아니라, 뇌의 보상 시스템과 깊은 관련이 있다.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은 새로운 알림이나 ‘좋아요’ 알림, 빠르게 소비되는 영상에서 짧은 쾌감..